Logo
Upper Arrow
공장이 예술을 품을 때
복합문화공간의 정점
F1963

철의 기억을 남긴 채 예술과 일상을 겹쳐 놓은 부산의 문화공장. 전시·공연·도서관·스퀘어와 가든이 한 호흡으로 이어지는 재생건축의 교본.

부산여행
F1963
복합문화공간

철의 시간 위에 문화의 온도를 더하다

첫인상은 묵직하고, 한 걸음 안쪽은 의외로 가볍다. 메탈의 결을 따라 빛과 그림자가 흘러들고, 오래된 트러스와 크레인의 기억은 그 자체로 전시가 된다. 와이어를 뽑던 공장은 ‘문화공장’이라는 새로운 이름을 얻었다. 2010년대 중반, 부산비엔날레를 계기로 다시 열린 문은 지금의 F1963을 만들었다.


공장의 골조를 최대한 남긴 재생건축, 버리기보다 덧대어 쌓아 올린 감수성. 바닥의 흠집과 천장의 높이가 말해주는 시간의 결 위에, 전시와 공연이 스며든다. 이곳이 사랑받는 이유는 ‘과거를 지우지 않은 지금’에 있다. 공장이 문화가 된 풍경, 부산에서 가장 공장다운 예술 공간.





전시, 공연, 서가, 광장 한 공간의 네가지 리듬

F1963의 하루는 여러 장면으로 겹쳐진다. 전시와 공연을 품는 석천홀, 책의 타워와 큐레이션으로 깊이를 만드는 도서관, 골조를 드러낸 채 햇빛과 바람을 통과시키는 스퀘어, 그리고 대나무 숲과 가든으로 숨을 고르는 야외 그린존까지. 도면 위 동그라미가 아니라, 동선 위 호흡으로 이해되는 구조다. 최근엔 사진제와 디자인, 음악 프로그램 등 도심형 축제가 이곳을 베이스로 확장된다. ‘전시 보다가 커피 한 잔, 책장을 넘기다 공연장으로’가 자연스럽게 이어지는 리듬. 가족 단위의 주말, 혼자 걷는 평일 오후, 누구의 하루라도 이곳에서 하나의 문장이 된다. 





산업의 곧음과 숲의 유연함 사이에서

한때 와이어가 지나가던 동선 옆으로 대나무가 자라고, 달빛가든과 키친가든이 계절의 표정을 더한다. 콘크리트가 만든 직선과 식물이 만드는 곡선이 부딪히지 않고 어우러지는 장면이 이 공간의 미학이다. 유리와 메탈, 바람과 그늘, 냄새와 소리까지 소재의 대비가 감각의 균형으로 수렴한다. 그래서 F1963은 ‘하루를 온전히 보내는 법’을 가르친다. 전시로 자극받고, 공연으로 흔들리고, 서가에서 가라앉고, 숲에서 다시 숨을 돌리는 일. 공장이 도시의 일상을 연결하는 방식이 바로 이런 순환에 있다. 오래된 시간의 골조가 지금의 취향을 붙든다. 





트리퍼
사진
F1963
장소
F1963

위 버튼을 누르면 FIND POINT가 적립됩니다. FIND POINT란?

RELATE CONTENTS